본문 바로가기
경제학(투자)

엔비디아 실적발표일 미국 관세 관련 대응 계획 등

by note3176 2025. 2. 3.
반응형

 

엔비디아 실적발표일과 최근 이슈로 떠오른 미국 관세 관련 대응 계획 등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지난주 연휴가 시작하면서 시장을 흔들었던 이슈는 '딥시크' 였습니다. 챗GPT를 비롯해 AI 플랫폼들이 작년 증시를 이끌었다면 이에 대한 반격으로 중국에서 개발된 딥시크가 지난주엔 미국 주식 시장을 흔들었습니다. 지난 월요일 엔비디아를 비롯하여 반도체 기업들에 대한 폭락이 시작되었고 시장은 공포로 물들었습니다. 하지만 그 밖의 섹터들은 혼조세나 상승을 보여주면서 시장 전체의 폭락이 아닌 일부 섹터의 조정으로 결국 장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나스닥이 크게 하락한 반면 다우나 S&P 500은 큰 움직임을 보여주지 않았으며 월~화가 지나면서 조정을 받았던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렇게 연휴가 잘 마무리 되나 싶었지만 금요일 또 한번 시장이 흔들렸습니다. 

 

 

이번에도 엔비디아를 비롯한 대형주들이 움직임을 보여주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하여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에 관세를 시행한다는 행정 명령이 시작되었고 시장은 즉각적으로 반응을 하였습니다. 연준 위원의 금리 인하 관련 발언들로 인해 상승을 보여주던 주가는 트럼프의 인터뷰와 동시에 급락하기 시작했고 결국 상승분을 전부 반납하고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미국이 진행하는 관세 정책에 대응하여 캐나다와 멕시코도 즉각적으로 반응하였고 역시 미국 물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나스닥 선물 시장 등이 요동쳤습니다. 주말동안 진행이 된 해당 절차들로 인해 월요일 오전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미국 주간거래에서 대부분의 종목들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관세 정책으로 인한 총성 없는 무역 전쟁이 과연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며, 또한 주가의 하락폭은 얼마나 보여줄지, 반등은 언제 나타날지 등에 대한 의견이 벌써부터 유튜브 등을 통해 양산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이번주 미국 증시는 변동성이 큰 한주 같습니다. 

 

 

엔비디아 실적발표일은 2월 26일(수)로 예정이 되어 있으며 딥시크로 인하여 의구심을 받고 있는 엔비디아 실적과 반도체 칩의 효율성, 가격 적정성 등을 어닝콜을 통해 얼마나 해소해줄지가 관건으로 보입니다. 엔비디아 실적발표일까지는 약 3주정도 되는 기간이 남아있기 때문에 그동안 시장이 어떻게 변화할지도 살펴봐야겠습니다. 딥시크로 인한 시장의 폭락에 이어 관세 정책으로 인한 폭락까지 2월의 시작이 요동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조정을 받는 기간이었던 2월의 시작이 역시나 쉽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공포에 빠져 있고 위기라고 말할때 누군가는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저가 매수를 진행하고 있으며 후에 차익실현을 진행합니다. 오늘 우선 본장을 주시하고 이번주 아마존, 알파벳, 퀄컴, amd 등 굵직한 기업들의 실적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니 이러한 기업들의 실적이 또 시장에는 어떤 반전을 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도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