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투자)34 개별 주식에 대한 판단 기준 지수가 무너지고 폭락하는 시점을 판단하는 기준은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드렸습니다. 이 기준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으신 분은 김종봉 작가님의 '돈 공부는 처음이라' 혹은 '돈의 시나리오' 책을 읽으시길 바랍니다. 첫번째 저의 투자 기준은 이렇게 지수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면 두번째 저의 투자 기준은 개별 기업의 이름과 주가입니다. 기업의 이름이라 하면 그 기업의 크기와 시장에서의 위치입니다. 저는 현재 기본적으로 미국 주식 비중을 높여 대부분의 투자금을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기업을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투자하는 글로벌(미국) 기업의 경우 우선 전세계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하였을때 100등 안에 드는 것을 기본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분야별 1등 기업에 투자하는 것.. 2024. 9. 12. 주식투자, 그 방향성을 설정하다 지난 포스팅에서 공부하고 올바른 방향성이 적립된 투자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는 주식 투자에만 해당되는 사안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부자를 부러워하고 열망합니다. 하지만 막상 주변에서 주식 투자를 통해 많은 돈을 벌었다는 사람이 나오면 시기, 질투하고 때로는 경시하기까지 합니다. 아무 노력없이 운좋게 번 돈으로 으스대고 다닌다, 나한테는 정보도 안알려주고 혼자만 이득봤다 등의 표현으로 말입니다. 제 경험으로 말씀드리자면 기본적으로 사람들에게 투자를 권유하면 안좋게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위험한 행위를 권장하는 사람, 사기꾼, 노력해서 돈벌려고 하지 않는 사람 등으로 생각하며 때론 어떤 사람들은 그래서 무슨 종목 들어가야 하는데? 그래서 어떤거 사고 팔아야 하는데? 라.. 2024. 9. 12. 노동소득, 투자소득 차이와 방향 설정 첫번재 포스팅 마무리부분에서 노동소득으로 더이상 이 세상을 살아가기 힘들다고 생각한 이유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제가 지금 다니는 직장이 제가 만족할 만큼의 월급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만큼의 일도 안한다고 생각하지만 누구나 자신이 일한 것에 대비하여 많은 월급을 받는 것을 원하기에 양심이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부족한 월급이 가진 단점이 무엇이 있냐고 생각을 해보면 여유롭지 않은 생활비, 하고 싶은 취미 생활 마음껏 할 수 없음, 가족 친구 지인들에게 원하는 만큼 베풀 수 없음 등 이외에도 수많은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장점은 무엇인가...? 월급을 적게 받는 것의 장점이라고 생각하면 그런게 있을리가 있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저한.. 2024. 9. 11. 경제적 자율주행을 위한 첫 시작 '경제적 자유' , '자율주행 자동차 같은 단어는 익숙하겠지만 '경제적 자율주행'은 처음 들어보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제가 만들어낸 단어는 아니며 저도 챗 GPT를 이용하여 AI가 만들어낸 단어를 가져왔을 뿐입니다. 경제적 자유와 관련된 많은 단어를 찾아내달라고 했지만 그 중 눈에 띄었던 경제적 자율주행은 단순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경제적으로 내가 터치하지 않고 내가 원하는 방향에 도달하게 해주는 것. 많은 사람이 원하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 혹은 파이프라인입니다. 대표적으로 건물주가 받는 월세, 투자자가 받는 배당금, 블로그 운영자가 받는 애드센스 수익 등이 있습니다. 블로그 이름을 경제적 자율주행이라고 정한 이유도 블로그 애드센스 수익을 통해 경제적 자유에.. 2024. 9. 11.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