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가 생긴 이후 많은 분이 대중교통을 이용하실 때 해당 카드를 사용하시고 있습니다. 출퇴근길만 보더라도 많은 분들이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시는 걸 많이 목격하였습니다. 기후동행카드란 월 1회 요금을 충전한 후 자신이 고른 사용기간 동안 지하철,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과 그 외에 서울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자전거인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처음에 나왔을 때부터 많은 관심이 있었고 특히 고정된 월 요금만 납부한다면 자유롭게 대중교통과 따릉이를 이용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기후동행카드는 이용 지역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용지역은 서울에 있는 지하철과 김포골드라인으로 제한이 되어 있으며 또한, 서울시 면허의 시내·마을버스 정도로 아직까지 그 범위가 그렇게 넓지는 못합니다. 특히 저도 얼마 전 평택을 방문하기 위해 서울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찍고 승차하여 평택 서정리역에 하차하였는데 그곳에서는 기후동행카드가 작동하지 않아서 직접 역무원분을 호출하여 다른 카드로 결제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는 규정 중에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지하철의 경우 이용범위 내 역에서(즉 서울에 있는 지하철과 김포골드라인을 의미합니다) 승차 후 이용범위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제 사례처럼 평택역같이 서울지역 외 타지역을 의미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 불가입니다. 이렇게 하차 외 지역에서 하차 미 태그가 월 2회 정도 누적이 되면 불이익이 있다고 전달받았습니다. 그러니 꼭 이 부분은 주의하셔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셔야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권종이 크게 3가지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따릉이를 포함한 월 이용권, 따릉이 미포함 월 이용권, 단기권입니다. 저는 주로 따릉이를 미포함한 대중교통 무제한 월 이용권을 구입하였는데 최근 날이 선선해지면서 이번 달에는 따릉이가 포함된 이용권을 구매하였습니다. 가격은 따릉이 미포함 대중교통 무제한 월 이용권의 경우 62,000원이며 따릉이가 포함될 경우 3천원이 추가되어 65,000원입니다. 단기권의 경우 1일권이 5,000원인 것으로 보아 조금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월 정기권을 구매하시고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특히 청년(만 19세~39세)의 경우 청년 할인도 해당이 되기 때문에 해당 나이대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기후동행카드 따릉이를 이용하시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티머니 GO'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티머니 GO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시면 택시/대중교통/SRT/고속 시외/공공자전거(따릉이,타슈)/자전거,킥보드로 카테고리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공공자전거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선택하시면 우측 상단에 메뉴 버튼이 선 3개로 나와 있습니다. 해당 메뉴를 클릭하시면 가장 상단에 따릉이 이용권이 있습니다. 해당 탭을 클릭하시면 실물 카드 인증이나 휴대전화로 기후동행카드를 발급받으신 경우 휴대전화에서 구입한 기후동행카드를 연동하는 버튼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누르시면 보유 중인 이용권으로 기후동행카드(2시간권) 따릉이 이용권이 발급됩니다. 이용 기간은 기후동행카드가 만료되는 시점까지입니다.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빽다방 바닐라라떼 칼로리 다양한 메뉴 정보 (2) | 2024.09.26 |
---|---|
휴일지킴이약국 검색 방법 및 활용하기 (3) | 2024.09.25 |
이마트 휴무일 정보(10월 휴무, 고객센터 번호 등) (2) | 2024.09.23 |
농협대학교 캠퍼스 주말 운영시간 개방 정보 (8) | 2024.09.23 |
천하장사 소세지 칼로리 유통기한 제품 특징 등 (5) | 2024.09.22 |